해외 여행 다니실 때 스마트폰에서 지도를 열어 보실 일이 많으실 겁니다. 이럴 경우 와이파이가 안되면 데이터로 하기도 부담스럽고 한데요 여행 출발하시기 전에 미리 준비를 해놓으시면 공짜로 오프라인 지도를 열어보실 수 있어서 경제적입니다.^^
즉, MOBAC 은 스마트폰에서 특정 지도 어플(저는 Locus 를 사용합니다)을 실행할 경우 미리 저장해 놓은 오프라인 지도의 소스를 읽어서 스마트폰에 보여주는 데이터의 역할을 합니다.
저는 해외 나가기 전에 꼭 목적지의 오프라인 지도를 만들어서 스마트폰에 넣어서 갑니다. 아주 유용합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1. 스마트폰에 Locus 어플을 설치합니다.
2. 컴퓨터에서 MOBAC 을 이용해서 오프라인 지도를 생성합니다. 오프라인 지도 파일은 본인이 나중에라도 알아보기 편하도록 파일명을 정해서 저장을 해놓으시면 더욱 편합니다.
3. 컴퓨터에서 만든 오프라인 지도 파일을 스마트폰에 넣어줍니다.(대부분 경로는 안드로이드폰 기준으로 Locus – maps 입니다)
컴퓨터에서 MOBAC을 이용해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파일을 두개 첨부해 드립니다. 한 개는 MOBAC 파일이고 한 개는 MOBAC 자체에 언제부터인지 구글 한글지도 소스가 없어져서 이것을 강제로 인식하게 해주는 파일입니다.
다운받으신 후 압축을 푸시고 나서 구글맵 소스 파일을 압축을 푸신 폴더 중에 mapsources 에 넣어주세요. 그러신 다음 바로 Mobile Atlas Creator.exe 를 실행하시면 됩니다.(설치하시는 방식이 아닙니다)
아래에서는 대만의 가오슝이라는 지역을 오프라인 지도로 만드는 것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프로그램 좌측에 Map Source 가 있는데 여기를 “Google 코리아 한국어표기”를 선택하시고 다음으로 지도 좌측 상단에 보시면 Zoom 이라는 버튼이 있는데 여기를 조절해서 대만이라는 나라가 보이도록 해주세요. 개인적으로 MOBAC 이 다 좋은데 지도의 중앙을 표시하는 것이 좀 불편합니다.--;; 일단 대만이라는 나라가 보이시면 거기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더블 클릭하시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확대가 되기 시작합니다. 가오슝이라는 지역이 보이기 시작하네요. 거기를 또 마우스 왼쪽 버튼 더블 클릭해 주세요. 계속 이런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이 지역의 지도를 다운받으시려면 영역을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영역을 마우스 왼쪽 클릭하신 상태로 당기시면 영역이 지정됩니다. 만약, 지정하신 영역을 취소하시려면 그냥 마우스 왼쪽 버튼을 한번 클릭하시면 다시 초기화 됩니다. 영역이 넓을수록 오프라인 지도의 용량이 커지겠지요.
좌측 Zoom Levels 칸에 체크를 하셔야 하는데, 숫자가 높은 것을 체크하실수록 정교해 지게 됩니다. 지역이 비교적 작고, 자세히 보셔야 하신다면 가장 큰 숫자부터 체크를 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몇 번 해보시면 대략적인 감이 생기실 겁니다.
그리고나서 바로 밑에 Atlas Content 에 보시면 New 버튼이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시면 우측의 작은 화면이 뜨실겁니다. 여기서 반드시 RMaps SQLite 를 선택해 주시고, 상단 부분에 이름을 적당하게 넣어주세요. 처음에도 말씀드렸다시피 나중에라도 저장하신 지도를 또 사용하실 수 있으니까 파일명을 잘 붙여주시면 좋습니다. 저는 그냥 “gaosiung”이라고 적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밑에 Saved profiles 란에 gaosiung 이라고 넣고 Save 를 클릭하신 후 Create Atlas 를 누르시면 오프라인 파일 저장이 시작됩니다.
'IT >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갤럭시 s20 ultra에 이런 기능이... (0) | 2020.03.01 |
---|---|
갤럭시 s20 Ultra 사전 예약했어요. (0) | 2020.02.22 |
로모스 대용량 보조배터리(30000mAh) 개봉기 (0) | 2020.02.19 |
갤럭시 노트에서 손글씨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법 (0) | 2019.12.16 |
Be Y 폰(비와이 폰, 화웨이 p9 lite의 국내판) 사용 후기 (0) | 2016.12.18 |